씨티엔에스입니다. 오늘은 반가운 소식을 들고 왔는데요. 다가올 CES 2024에 씨티엔에스가 참가하게 되었다는 소식입니다. CTA(Consumer Technology Association/미국 소비자기술협회)에서 SWAFT BSS 아이템 전시를 승인하며, CES 유레카파크에서 씨티엔에스를 만나볼 수 있을 예정인데요. 방문 시 SWAFT BSS는 물론 ZENION, Link-B, B-CON 등 씨티엔에스의 다양한 기술력을 선보여드릴 예정입니다.
CES 2024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CES(Consumer Electronics Show)는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기술 전시회입니다. 1967년부터 시작되었으며 일반적으로 1월에 미국 네바다 주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이 행사는 가전 업계의 새로운 제품과 기술에 대한 소개를 합니다.
CES 2024는 2024년 1월 9일부터 12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게 되는데요. CES 2024에는 삼성전자, LG전자, 구글, 퀄컴, 아마존, 소니 등 글로벌 기업을 포함해 총 3500여 개 업체가 참가할 예정입니다. 한국 기업은 500곳이 참가를 확정했으며, 그 중 씨티엔에스를 포함한 355개 기업이 유레카파크라는 스타트업 전용 전시관에 부스를 운영할 예정입니다.
CES 2024의 핵심 기술과 화두로는 AI, 5G, 디지털 헬스, 모빌리티와 지속가능성, 스마트홈, 뷰티테크&애그테크 등이 있습니다. CES 2024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하단에 첨부해드린 CES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CTNS에서 전시할 예정인 제품들
이번에 메인 전시품으로 선정된 SWAFT는 신속한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BSS 플랫폼 서비스입니다. SWAFT는 산업표준심의회에서 제정한 KS R 6100 표준을 적용하여 개발하였기 때문에, 표준 규격을 따르는 E-Bike 제품은 모두 SWAFT를 사용 가능하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인데요.
그 외에도 SWAFT BSS는 ▲자체 개발한 국산 BMS를 기반으로 한 기술력 ▲E-Bike 전용 고강도 케이스 사용 ▲온도 감지 센서를 통한 비상 방출 기능 ▲사고 예방을 위한 배터리관제시스템 기능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온도 감지 센서를 통한 비상 방출 기능은 최근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배터리 화재를 예방할 수 있어 더욱 주목받는데요. 배터리 스테이션의 화재는 규모가 큰 만큼 주변 상가와 건물로 확산되어 큰 인명/재산피해로 번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SWAFT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온도 감지 센서를 통해 화재가 감지될 경우 해당 배터리가 냉각재 수조로 자동 방출되도록 설계하였습니다.
그 외에도 씨티엔에스의 배터리팩 브랜드인 제니온(ZENION)과 배터리 관리 솔루션(Link-B), 모듈형 UPS 배터리 B-CON 등이 전시될 예정입니다.
CES 유레카파크
CES 2024에서 씨티엔에스는 '유레카파크' 통합한국관에서 여러분을 만나뵙게 될 예정인데요. CES의 유레카파크는 CES 2024에 참가한 소규모 기업을 위해 마련된 전용 전시관입니다.
유레카파크는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 (LVCC)에서 자동차로 7~8분 거리에 있는 Venetian Expo의 1층과 2층에 걸쳐 있습니다. 이 곳에서는 전 세계 유망 스타트업들이 자신의 미래 기술을 선보이고 경쟁하게 되기 때문에 많은 방문객들이 내방합니다.
특히 CES 유레카파크 내 통합한국관은 CES (국제전자제품박람회)에 참여하는 국내 혁신 중소기업들을 위해 마련된 공간이라 많은 국내 스타트업들이 참가신청을 하고 있습니다.
지난 CES 2023에는 코트라,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충남도 등 총 12개 기관이 통합한국관을 구성하고, 유레카관 77개사와 국가관 14개사 등 국내기업 총 91개사가 참가했습니다. 유레카파크 통합한국관에는 전기차, AR, AI, IoT,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의 혁신기술을 선보이는 국내 스타트업들이 모여 있는 만큼, 한국의 기술력과 창의력을 세계에 알리는 무대가 되고 있습니다.
지난 CES 유레카파크에서는 코트라와 KEA 등이 공동으로 구성한 통합 한국관이 총 78개사로 참여했고, 그래핀 라디에이터, 점자 패드, 배송 무인 로봇 등 혁신적인 기술을 선보였습니다. 이번에 씨티엔에스가 전시하게 될 2024 통합한국관에서는 24개 기관 186개사가 참가할 예정인데요. 23년의 14개 기관 110개사에 대비하여 69%가 상승한 규모입니다. 유레카파크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CES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유레카파크 통합한국관의 구조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레카파크는 Venetian Expo의 1층과 2층에 걸쳐 있으며, 통합한국관은 1층의 50000번대와 2층의 60000번대 부스에 위치해 있습니다.
1층에는 코트라,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충남도, 경남도,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인천광역시,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한국정보화진흥원, 한국콘텐츠진흥원 등 12개 기관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2층에는 코트라가 주관하는 국가관이 있으며, 전기차, AR, AI, IoT,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의 혁신기술을 선보이는 국내 스타트업들이 모여 있습니다. 씨티엔에스는 G HALL 유레카 파크 BLOCK A에서 여러분을 만나뵙게 될 예정입니다.
이번 CES 2024 참가는 씨티엔에스에게도 큰 기회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기술 전시회에 참관이 아닌 참가 기업으로 함께하는 만큼 확실하게 준비해서 기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씨티엔에스입니다. 오늘은 반가운 소식을 들고 왔는데요. 다가올 CES 2024에 씨티엔에스가 참가하게 되었다는 소식입니다. CTA(Consumer Technology Association/미국 소비자기술협회)에서 SWAFT BSS 아이템 전시를 승인하며, CES 유레카파크에서 씨티엔에스를 만나볼 수 있을 예정인데요. 방문 시 SWAFT BSS는 물론 ZENION, Link-B, B-CON 등 씨티엔에스의 다양한 기술력을 선보여드릴 예정입니다.
CES 2024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CES(Consumer Electronics Show)는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기술 전시회입니다. 1967년부터 시작되었으며 일반적으로 1월에 미국 네바다 주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이 행사는 가전 업계의 새로운 제품과 기술에 대한 소개를 합니다.
CES 2024는 2024년 1월 9일부터 12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게 되는데요. CES 2024에는 삼성전자, LG전자, 구글, 퀄컴, 아마존, 소니 등 글로벌 기업을 포함해 총 3500여 개 업체가 참가할 예정입니다. 한국 기업은 500곳이 참가를 확정했으며, 그 중 씨티엔에스를 포함한 355개 기업이 유레카파크라는 스타트업 전용 전시관에 부스를 운영할 예정입니다.
CES 2024의 핵심 기술과 화두로는 AI, 5G, 디지털 헬스, 모빌리티와 지속가능성, 스마트홈, 뷰티테크&애그테크 등이 있습니다. CES 2024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하단에 첨부해드린 CES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번에 메인 전시품으로 선정된 SWAFT는 신속한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BSS 플랫폼 서비스입니다. SWAFT는 산업표준심의회에서 제정한 KS R 6100 표준을 적용하여 개발하였기 때문에, 표준 규격을 따르는 E-Bike 제품은 모두 SWAFT를 사용 가능하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인데요.
그 외에도 SWAFT BSS는 ▲자체 개발한 국산 BMS를 기반으로 한 기술력 ▲E-Bike 전용 고강도 케이스 사용 ▲온도 감지 센서를 통한 비상 방출 기능 ▲사고 예방을 위한 배터리관제시스템 기능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온도 감지 센서를 통한 비상 방출 기능은 최근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배터리 화재를 예방할 수 있어 더욱 주목받는데요. 배터리 스테이션의 화재는 규모가 큰 만큼 주변 상가와 건물로 확산되어 큰 인명/재산피해로 번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SWAFT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온도 감지 센서를 통해 화재가 감지될 경우 해당 배터리가 냉각재 수조로 자동 방출되도록 설계하였습니다.
그 외에도 씨티엔에스의 배터리팩 브랜드인 제니온(ZENION)과 배터리 관리 솔루션(Link-B), 모듈형 UPS 배터리 B-CON 등이 전시될 예정입니다.
CES 2024에서 씨티엔에스는 '유레카파크' 통합한국관에서 여러분을 만나뵙게 될 예정인데요. CES의 유레카파크는 CES 2024에 참가한 소규모 기업을 위해 마련된 전용 전시관입니다.
유레카파크는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 (LVCC)에서 자동차로 7~8분 거리에 있는 Venetian Expo의 1층과 2층에 걸쳐 있습니다. 이 곳에서는 전 세계 유망 스타트업들이 자신의 미래 기술을 선보이고 경쟁하게 되기 때문에 많은 방문객들이 내방합니다.
특히 CES 유레카파크 내 통합한국관은 CES (국제전자제품박람회)에 참여하는 국내 혁신 중소기업들을 위해 마련된 공간이라 많은 국내 스타트업들이 참가신청을 하고 있습니다.
지난 CES 2023에는 코트라,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충남도 등 총 12개 기관이 통합한국관을 구성하고, 유레카관 77개사와 국가관 14개사 등 국내기업 총 91개사가 참가했습니다. 유레카파크 통합한국관에는 전기차, AR, AI, IoT,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의 혁신기술을 선보이는 국내 스타트업들이 모여 있는 만큼, 한국의 기술력과 창의력을 세계에 알리는 무대가 되고 있습니다.
지난 CES 유레카파크에서는 코트라와 KEA 등이 공동으로 구성한 통합 한국관이 총 78개사로 참여했고, 그래핀 라디에이터, 점자 패드, 배송 무인 로봇 등 혁신적인 기술을 선보였습니다. 이번에 씨티엔에스가 전시하게 될 2024 통합한국관에서는 24개 기관 186개사가 참가할 예정인데요. 23년의 14개 기관 110개사에 대비하여 69%가 상승한 규모입니다. 유레카파크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CES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유레카파크 통합한국관의 구조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레카파크는 Venetian Expo의 1층과 2층에 걸쳐 있으며, 통합한국관은 1층의 50000번대와 2층의 60000번대 부스에 위치해 있습니다.
1층에는 코트라,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충남도, 경남도,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인천광역시,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한국정보화진흥원, 한국콘텐츠진흥원 등 12개 기관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2층에는 코트라가 주관하는 국가관이 있으며, 전기차, AR, AI, IoT,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의 혁신기술을 선보이는 국내 스타트업들이 모여 있습니다. 씨티엔에스는 G HALL 유레카 파크 BLOCK A에서 여러분을 만나뵙게 될 예정입니다.
이번 CES 2024 참가는 씨티엔에스에게도 큰 기회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기술 전시회에 참관이 아닌 참가 기업으로 함께하는 만큼 확실하게 준비해서 기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